NCM
LiCoO2 (LCO), LiMnO2 (LMO), LiFePO4 (LFP) 등의 많은 층상 구조 양극 물질들은 transition metal slab, lithium slab, oxygen slab으로 이루어져 있다. 리튬의 diffusivity는 active-state의 리튬과 transition metal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한 active site의 에너지에 영향을 받는다.
예를 들어, LCO는 Li 이온과 CoO6 octahedra가 ABCABC의 순서로 쌓여있는 층상 구조로 인해 높은 Li+ 이온 모빌리티를 가지며 4.2V vs Li0/Li+의 퍼텐셜에서 272mAh/g의 theoretical specific capacity를 보인다. 하지만 practical capacity는 약 150mAh/g로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는데, 이는 Li/Co 비율이 0.5보다 낮을 때 rhombohedral에서 monoclinic phase로의 irreversible phase transition이 일어나고 Li deintercalation을 억제하기 때문이다. Transition metal layer에 Nickel 이온을 넣는 것은 rhomboheral phase를 안정화시키고 용량을 늘리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.